image_(9).png
Biomimetic Denstistry

[Bio- 생체 , Mimetic -모방] 이란 뜻으로 치아의 각 해부학적인 부위들을 모방하여 치아와 유사한 성질의 재료로 수복하는 치료를 말합니다.


생체모방?

치아는 법랑질, 상아질, 치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법랑질은 치아를 외부적인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일 단단한 부위이고

상아질은 외부외력에 대한 스트레스를 
완충시키기 위해 탄성이 있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치수는 치아의 신경과 혈관이 분포되어
 감각기능과 영양분 공급 기능이 있습니다.

이러한 법랑질, 상아질 ,치수의 각 해부학적인 부위들을 모방하여
법랑질은 외부적인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단단한 재료
상아질은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재료
치수는 감각과 영양분 공급기능을 보존 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모방치과기술이라고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무제_3.png
What is biomimetic denstistry?
-Nejad
151.Biomimetic_dentistry_.001_.jpeg
Conventional Dentistry 전통적인 치과기술

기존 전통적인 치과치료의 대표적인 예시
치아가 손상되면 치아를 삭제하고, 치아를 삭제한만큼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을 "씌우는" 술식입니다.

치아의 수명은 잔존치질의 양에 비례하므로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을 씌우게 되면
치아의 수명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됩니다.
Biomimetic Dentistry 바이오미메틱치과기술

치아가 손상된 부분만을 제거하여 치아와 유사한 성질의 재료를 모방(레진, 세라믹)하여 
"접착"하는 술식입니다.


Biomimetic Dentistry는 치아의 구조를 보존하고 자연치의 내부구조와 기능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접착술식의 발전으로 인해 Biomimetic Dentistry가 구현 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크라운방식은 치아가 손상된 부위 뿐만아니라 치아가 손상되지않는 부분까지 포함하여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더욱이 손상되지않은 치아의 머리와 뿌리를 연결하는 치아목부분은 치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image_(11).png

치아의 목부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저작을 할 때 치아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위이기 때문에
치아 목부분의 건전한 치질은 중요한 구조 입니다.

치아의 목부분의 탄력석이 중요한 이유는 치아의 탄력성이 부족해지면 저작시 치아의 하중이
바로 뿌리부분으로 이어지게 되어 뿌리에 무리한 힘으로 이어지게 되고
결국 뿌리에 Crack으로 진행되고는 합니다.
스크린샷_2024-08-15_오후_9.12_.29_.png


BIOMIMETIC DENTISTRY
의 장점

만약 치아가 외상이나 충치로 인해 치아에 손상이 가해졌을때
손상이 있는 부분만 접착술식으로 치료한다면 
손상된 부위와 수복물의 부피차이는
 거의 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를 라미네이트로 치료했을때 
치아삭제량은 16.6~30.2% 이고 
크라운으로 치료했을 때는 62.8~72.1%입니다.


크라운을 했을 때
잔존치질의 양은 40%이하라는 뜻입니다.
무제_12.png
image_(6).png
Biomimetic Dentistry의 핵심은 접착

지금은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접착술식의 강도는  지금은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발전하였지만
불과 몇십년 전만 하더라도 접착강도는 충분하지 못하여 
치아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의 전통적인 치과기술로명맥을이어져 왔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접착술식의 발전으로 인해 더이상 불필요한 치아삭제는 하지 않아도 됩니다.

상아질의 접착강도는 30MPa~ 60MPa까지 발전되었으며, 이는 법랑질 상아질의 인장강도와 유사한 수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