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진은 약하다고 하던데요?


단순히 재료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재료가 어떤 재료와 비교했을 때 강하고 약한 것인지

어떤 시술재료를 , 어떤 상황에, 어떤 방식으로 시술하는지에 따라서

같은 재료에 따라서도 치료의 결과는 달라집니다.



치아삭제량을 우선 시할것인가? 수복물의 강도를 우선시 할것인가?

비교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Biomimetic Dentistry
Biomimetic Dentistry에서는 더이상 골드, 아말감, 지아이와 같은 재료들을 취급하지 않습니다.
오직 치아와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는 재료로는 복합레진과 세라믹입니다.
치아삭제량


레진은 직접수복 세라믹은 간접수복입니다.
직접수복은 간접수복에 비해 치아삭제량이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직접수복으로 가능하다면 레진으로 하여 치아삭제량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재료의 강도


재료의 표면 경도는 세라믹이 더 높은 반면
레진이 세라믹에 비해 탄력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손상된 부위가 넓다면 세라믹으로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직접수복과 간접수복의 차이

무제_8.png
무제_9.png
무제_10.png
무제_11.png
직접수복

직접수복은 구강내에서 직접 손상된 부분을 회복하기 때문에 손상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치료 할 수 있습니다.
간접수복에비대 직접수복이 치아삭제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간접수복

간접수복은 기공과정의 한계로 손상된 부분을 한피스로 묶어야합니다.
Passive fit을 얻기 위해서는 손상된 부분보다 치아삭제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간접수복물이 직접수복물보다 강도는 강합니다.

치아의 수명은 잔존치질의 양에 비례합니다.
스크린샷_2024-08-01_오후_10.56_.05_.png
레진의 접착력은 충분히 강하다.



레진의 접착력은 충분히 강합니다.  접착강도는 1cm의 복합레진 막대를 붙이고 여기에 물체를 매달았을 때 240Kg 의 하중을 견대는 정도로 매우 큰 결합력입니다.

하지만 이를 재현하기 위해서는 중합시 수축응력의 발생, 치아표면의 조건, 구강내 타액의 방습등
여러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이를 레진빌드업이라고 합니다.



레진빌드업 더 알아보기